한글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다가 예기치 않게 컴퓨터가 꺼지거나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경험을 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이런 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매우 당황하게 되는데요. 부랴부랴 컴퓨터를 켜고 다시 파일을 열었는데 작업을 한 파일이 다 날아가 버렸다면 참 허탈한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한글 프로그램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대비하여 복구용 임시 파일을 자동 저장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갑작스러운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작업 내용을 쉽게 복구할 수 있는데요.
오늘 포스팅은 한글 자동저장 기능 설정과 저장된 임시 파일의 위치를 찾는 방법을 설명해 드릴까합니다.
한글 자동저장 설정
새로운 한글 파일을 작성하고 있을때부터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파일을 작성 도중에 갑작스러운 프로그램 종료를 대비해서 자동저장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데요.
[파일]탭 >> [저장하기] 클릭 또는 단축키 Alt + S
저장하기 대화상자가 나오면 하단의 [도구] >> [저장 설정] 클릭
저장 설정 대화상자가 나오면 하단의 [무조건 자동 저장] 체크하고 시간설정 >> [쉴 때 자동 저장] 체크하고 시간설정 >> [설정] 클릭
* 무조건 자동 저장 : 문서를 작성할 떄 일정한 시간마다 무조건 자동저장합니다. 1분 ~ 60분 사이의 값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쉴 때 자동 저장 : 문서 작성 중 일정 시간 이상 작업하지 않을 경우 자동저장합니다. 1초 ~360초 사이의 값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장 위치 설정 >> 파일 이름 설정 >> [저장]을 클릭합니다.
임시 저장 파일 열기
자동 저장 설정이후에 갑작스러운 프로그램 종료가 발생한 경우 다시 컴퓨터 부팅을 하고 한글 프로그램을 실행해 보세요.
위 사진처럼 자동 저장된 파일을 불러올까요라는 대화상자가 뜨는데요. [불러옴]을 클릭하면 임시 자동 저장된 파일이 불려오게 됩니다.
한글 자동저장 파일 위치 찾기
이번에는 자동저장된 임시 파일의 위치를 찾아 여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한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우측 상단의 [?]클릭 >> [한글정보] 클릭
[폴더 정보]탭에 들어가면 다양한 파일 경로가 나오는데요. 여기서 임시폴더 주소를 Ctrl + C로 복사합니다.
그리고 파일 탐색기로 들어가서 주소창에 복사한 주소를 붙여넣기(Ctrl + V) 해주세요.
이동한 주소에서 HWP120이라고 적힌 폴더를 더블클릭합니다.(폴더명은 한글 버전마다 조금씩 다를수 있으나 HWP가 적힌 폴더를 열어보면됩니다.)
그럼 이렇게 임시 저장된 파일을 확인할 수 있고 이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임시 저장된 파일을 불러오게 됩니다.
----------
지금까지 한글 프로그램이 갑자기 종료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기능을 알려드렸습니다. 프로그램 활용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