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Ads Widget

한글 저장하기와 다른이름으로 저장하기, 차이점과 단축키

직장생활을 시작하게 되면 사무직의 경우 대부분 컴퓨터 작업을 많이 하게 됩니다. 업종별로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한글,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입사 전 공부를 하고 들어가면 좋겠지만 대부분 현업과 병행하며 조금씩 배워 나가는 실정일 것입니다. 이런 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기초부터 실무까지 사용가능한 오피스 프로그램을 알려드릴까 하는데요. 

오늘은 첫 시간으로 한글을 작성한 후 작성한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까합니다. 한글 저장하기 두 가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한글 저장하기

단축키 : Alt + S

처음 한글 프로그램을 열고 저장하기를 누르면 지금까지 작성한 파일이 새로운 한글파일로 생성이 되며, 한 번 저장한 이후에 저장하기를 누르면 만들어졌던 파일 위에 덮어쓰기가 되게 됩니다.



한글 저장하기

새로 작성한 파일을 저장하려면

[파일]탭 >> [저장하기] 또는 단축키 Alt + S



한글 저장하기

파일을 저장할 위치를 선택 >> 파일이름을 입력 >> [저장]클릭

이렇게 하면 해당 위치에 입력한 파일명으로 파일이 저장되게 됩니다.


한 번 파일을 저장한 이후에 한글에서 작업을 더 하고 서식 도구 상자의 [저장하기]아이콘을 누르거나 단축키(Alt+S)를 누르면 그 위에 덮어쓰기가 됩니다. 결국 저정하기는 한 파일위에 계속 덮어쓰기를 하는 형식으로 파일이 하나밖에 생성되지 않습니다.



한글 다른이름으로 저장하기

단축키 : Alt + V

한글 프로그램에서 현재 편집 중인 문서 파일을 그대로 두고 작업 내용을 새로운 파일로 저장하려면 '다른이름으로 저장하기' 기능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이는 파일 버전을 계속 업데이트하면서 여러가지 버전으로 보관하여야 할 때 유용한 기능인데요.

원래의 파일을 그대로 두고 수정한 내용을 별도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파일의 저장 위치, 파일 이름, 파일 형식도 새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한글 다른이름으로 저장하기

이미 작성된 한글 파일을 엽니다. 그리고 수정작업을 거친 후 다른이름으로 저장을 하려면

[파일]탭 >> [다른이름으로 저장하기]클릭 또는 단축키 Alt + V 



한글 다른이름으로 저장하기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 대화상자가 뜨면

파일을 저장할 위치 선택 >> 파일이름을 다르게 바꾸기 >> [저장]클릭



한글 다른이름으로 저장하기

이렇게 하면 다름이름으로 저장하기가 완료가 되며 해당 파일이 들어있는 폴더 위치에 들어가보면 원본과 다른이름으로 저장한 파일 2개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장하기는 파일 하나에 계속 덮어쓰기가 되지만 다른이름으로 저장하기는 새로운 버전의 파일이 계속 생성되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


오늘 포스팅은 한글 저장하기와 다른이름이름으로 저장하기 방법과 차이점을 알려드렸습니다. 유용한 정보이었기를 바랍니다.

댓글 쓰기

0 댓글